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on-LGBTQI People Who have Direct Contact with LGBTQI People

  • 859
160440.jpg

목적 본 연구는 성소수자와 직접접촉 경험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목적을 위하여 동성애, 양성애, 트랜스젠더의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이 있었던 비성소수자 12명을 대상으로 대면과 화상, 전화를 활용한 반구조화 면담을 60분~90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참여자의 공통적인 경험인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5개의 상위주제와 22개의 하위주제, 그리고 66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5개의 상위주제는 첫째, ‘직접 접촉 이전경험’은 간접접촉이 있었더라도 성소수자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 둘째, ‘성소수자임을 알게 된 경험’은 직접접촉을 통해 성소수자를 수용할 수 있었다. 셋째, ‘성찰의 경험’은 내면 깊숙이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이 있음을 자각하였다. 넷째, ‘이해의 확장경험’은 커밍아웃의 두려움을 이해하면서 다른 영역의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다섯째,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경험’은 차별금지법제정 등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서 벗어나 한 인간으로 수용해가는 비성소수자 경험과 동시에 성소수자가 커밍아웃을 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어떤 것인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용의 사회로 나아갈 필요성을 제기하고 교육자와 상담자에게 성소수자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non-LGBTQI people who had contact with LGBTQI people. Methods For this purpose, 12 non-LGBTQI people who have contact with LGBT people who are sexually oriented, such as homosexuality and bisexuality, and transgender, who are sexually oriented, were selected. Each participant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face-to-face, video, or telephone for 60 to 90 min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 s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a common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5 super-topics, 22 sub-topics, and 66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e 5 super- themes derived were first, ‘experience before direct contact’, even if there was indirect contact, there was a sense of rejection towards LGBTQI people. Second, the ‘experience of knowing that I am a LGBTQI person’ was able to accept a LGBTQI person through direct contact. Third, ‘Experience of Reflection’ recognized that there was a prejudice against LGBTQI people deep inside. Fourth, ‘Experience of Expansion of Understanding’ was interested in social issues in other areas while understanding the fear of coming out. Fifth, ‘Experience for a Better Society’ suggested the need for education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Anti-Discrimination Ac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escaping from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LGBTQI people and accepting them as a human being, as well as exploring a safe environment in which LGBTQI people can come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the need to move toward a tolerant society and to use it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educators and counselors to understand LGBTQI peopl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