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의 종류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분석하였다. 민들레 종류별 1000 mg kg-1의 메탄올 추출물의총 페놀 함량은 지상부 추출물이 50.2~76.8 mg kg-1범위로지하부 추출물 24.9~40.0 mg kg-1범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종별로는 민들레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지상부 및 지하부 추출물에서 각각 76.8과 40.0 mg kg-1를 보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p < 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페놀 함량보다 낮은 함량 범위(6.5~36.4 mg kg-1)를 보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민들레의 지상부와 뿌리 추출물 1,000 mg kg-1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각각 89.6와 83.4%의 소거능을보여 다른 두 종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MTT법에 의한세포독성 시험에서 민들레 종류별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 민들레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고(IC50값 = 83.4과 66.4 mg kg-1),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여 민들레가 다른 두 종에 비해 높은 세포독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한편, 위암세포주(SNU-601)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폐암세포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으로 이는 추출물이 더 낮은 항암활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냈다. 각 성분과 생리활성 항목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의 상관관계(r2=0.0097~0.6213)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 상관관계(r2=0.0027~0.4627)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성및 세포독성 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 그 함량과 활성은 민들레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were investigated in the methanol extracts of three different Taraxacum species, Taraxacum coreanum, Taraxacum mongolicum, and Taraxacum officinale. Total phenolics content at 1000 mg kg-1 was more present in shoot parts than in roots, and was highest in T. mongolicum shoot and root extracts (76.8 and 40.0 mg kg-1, respectively), followed by T. coreanum and T. officinale (p < 0.05). Total flavonoid level had same tendency to total phenolics among Taraxacum species, showing lower amounts (6.5~36.4 mg kg-1) than total phenolic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all the species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0 mg kg-1 was highest in shoot and root extracts from T. mongolicum by 89.6 and 83.4%, respectively. According to MTT assay, cell viability of Calu-6 (human pulmonary carcinoma) was lowest in the T. mongolicum shoot and root extracts (IC50 values=83.4 and 66.4 mg kg-1, respectively), and followed by T. coreanum and T. officinale (lowest). Calu-6 was more sensitive to the extracts than SNU-601 (human gastric carcinoma).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in three different Taraxacum species was more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s content (r2=0.0097 to 0.6213) than with total flavonoids level (r2=0.0027 to 0.4627). The results showed total phenolics content and total flavonoids level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nticancer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content and activ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pecies.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사사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