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전자 조작 옥수수의 유전자 유출을 막기 위한 관리방법 개발의 목적으로 고려대학교 GMO 격리포장에서 2010년에 수행된 화분 비산실험의 결과를 이용하여Yamamura(2004)의 Gamma model로 모델링하였다. 1. 모델의 결정계수는 0.44로 예측치가 실측치를 잘 설명하였다. 2. 옥수수 화분의 최대 비산 방향은 북서쪽으로 나타났다. 3. 최대 비산 방향으로 타가수분율이 0.001까지 낮아지는거리인 ‘유전자유출 한계거리(0.001)’는 525 m 그리고국내법상 비의도적 GMO 혼입허용치인 0.03 까지 낮아지는 거리인 ‘최소 동일작물 재배 한계거리(0.03)’는35 m로 나타났다.
The pollen dispersal by wind can make an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viability and evolution of plants in ecological and agricultural science. Modelling can be applied to evaluate concerns about the spread of engineered pollens from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ere, we are using gamma model to estimate the level of dispersal distance of pollen in the cross-pollination between two different maize (Zea mays L.) cultivars in GMO field of Korea University during the year 2010. The result of estimation of model indicates maximum pollen dispersal distance of estimated proportion of cross-pollination of maize was reached to 0.1% in 525 meter northwest due to the wind. We identify further measurement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odel predictions.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