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various transplanting dates and agroclimatic zones on quality of brown rice and yield of a pigmented rice variety ‘Josaengheugchal’. The black density of brown rice in Jecheon (central inland region) showed a slight dif-ference among the transplanting dates, but in Cheongwon (western sobaek inland region) that had increased at the transplanting dates of June 10th to 20th. cyanidin 3-glucoside (C3G) content at the same transplanting date in Jecheon was higher than Cheongwon, and the overall C3G content was increased at the later transplanting dates.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estimated by brown rice yields and C3G content was May 11th (491 kg/10a) in Jecheon and June 16th (468 kg/10a) in Cheongwon.
목차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1)
- 이면교배에 의한 흑자색미 안토시아닌 함량의 유전분석
-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경북 주요 브랜드 쌀의 품질 분석
- 선녹콩 개체간 및 개체내 단백질 함량 변이
- 이앙시기와 농업기후지대의 차이가 조생흑찰의 현미 품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쌀겨처리가 벼 생육 특성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 검정콩 종피 안토시아닌의 적정 추출 효율 및 안정성
- Effects of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and Chemical Fertilizer on the Phytochemical Contents of Rice
- 한국 재래종 콩의 수집지대별 생태적 특성 및 품질 차이
- 일품벼 도정 및 쌀 품질 향상을 위한 분시비율 개선연구
- 벼 만식재배시 묘령이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청색과 적색 해가림 재배에 따른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차이
- 벼 수발아가 품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규산질 비료 시용이 쌀 품질 및 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 GC 및 HPLC 비교분석에 기초한 차조기 종실내 tocotrienol 부재의 평가
- 혹명나방 피해 정도에 따른 벼 수량 및 미질 반응
- 남부지방 탑라이스 재배지역에 알맞은 벼 품종 선발
- 한국 재래종 콩의 생육 및 품질 특성
- 영남평야지에서 벼 이앙시기에 따른 도정특성 변화와 도정특성 유망 유전자원 탐색
- 현미 종류별 발아현미의 발아 전 후 생리활성물질 함량의 변화
-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녹차의 색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