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분기별 거시경제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단기 수입총수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국내총생산(GDP)의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수입의 부분탄력성을 추정하는 데 있다논문구성/논리: 민간소비지출, 투자지출, 정부지출, 수출 및 수입가격의 시계열 지료를 대상으로 Johansen 다변량공적분 분석을 통하여 수입수요함수를 구성하고 있는 변수들 간의 장기적 인과관계를 파악하며, 벡터오차수정모형 추정을 통해 단기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결과: 다변량공적분과 벡터오차수정모형의 분석결과는 국내총생산(GDP)의 구성요소에 대한 총수입의 부분탄력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투자에 대한 지출, 수출 및 수입가격에 대한 총수입수요의 부분탄력성은 양(+)의 값으로 보고된 반면 민간부문 소비 및 정부지출의 변화에 ​​대해서는 음의 값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나 민간 및 정부부문의 소비증가가 수입의 감소로 나타난다. 그러나 단기적인 영향분석을 위한 벡터오차수정모형은 한국의 수입수요가 이전 기간의 수입, 투자에 대한 지출, 수출 그리고 수입 가격의 변화에 ​​의해 단기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역수지를 개선하고자 하는 국가의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수입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율정책은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수입수요에 큰 영향을 미치나 단기적으로는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민간 소비를 늘리기 위한 정책은 장기적으로 총수입을 감소시켜 한국의 무역수지를 더욱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책이 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mpirical examination of Korea’s short-run and long-run aggregate demand for the imports and demonstrate estimates of partial elasticities of imports with respect to different components of final expenditure based on quarterly economic data for the period 2000-2020. Composition/Logic: A Johansen multivariate cointegration is employed on the data of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on investment goods, government spending, exports and relative import prices. The augmented Dickey-Fuller (ADF)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procedure with Trace and Eigen–value tests are also applied for finding the existence of a cointegration, identifying the long-run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Korea’s import demand function.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was used to find short-run influences of components on the aggregate import demand. Findings: The results of both the multivariate cointegration procedure and the short-run error correction model suggest that the variables are all cointegrated and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ong-run partial elasticities of imports with reference to different factors of final expenditure and relative import prices. Partial elasticities with respect to the expenditure on investment goods, exports and import prices are reported to be positive while imports seems to move negatively to changes in private consumption and government expenditure, indicating that an increase in private and government sector consumption could lead to a decrease in demand for imports in the long run. However, the VECM indicates that the imports are influenced by previous changes in imports, expenditure on investment goods, exports and import prices in the short run. Originality/Value: These findings can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seeking to improve their country’s trade balances in the long run. In particular, exchange rate policie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import prices are reported to have significant long-term impact on Korea’s import demand, but only moderate effect in the short term. Policies implemented with a view to increasing the private sector consumption could be of a crucial importance in decreasing aggregate imports in the long term, resulting in further improvement in Korea’s balance of trade.
Ⅰ. Introduction
Ⅱ. Data
Ⅲ. Empirical Results
Ⅳ.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Ⅴ. Conclusions
Refer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