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501.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in COVID-19: Focusing on Trade-related Subjects

  • 645

연구목적: 코로나19의 확산이 국내를 넘어서 전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이 선언되고 난 후 교육부와 교육주체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하는 모습에서 벗어나 학내외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원격수업 운영지침’ 등을 제정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수업만족도와 수업성과를 고려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무역 관련 교과목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진행된 ‘동시적 원격수업’과 ‘비동시적 원격수업’의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학습 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코로나 19 상황과 원격수업, 학습 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A대학교에서 진행한 무역 관련 교과목의 동시적 및 비동시적 비대면 원격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비동시적/동시적 원격수업의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비동시적 원격수업인 LMS 탑재 녹화영상 강의에서 사회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모두가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자들은 실시간 화상강의와 같은 동시적 원격수업에서 사회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을 더욱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원격강의에서도 교수자와 학습자가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점이 이 같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원격수업을 동시적 및 비동시적으로 구분하여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학문적 독창성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은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는 시대를 대비하여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장점을 더욱 확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수업전환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Purpose: : The spread of COVID-19 has been declared a global pandemic.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entities have prepared a system for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that allows learners to consider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performance of non-face-to-face distance classes conducted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ing on trade-related subjects. Composition/Logic: This study surveyed learners who took simultaneous and asynchronous non-face-to-face distance classes in trade-related subjects.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synchronous and simultaneous distance learning and social presence,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Findings: Results showed that social, teaching and cognitive presence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arning flow in a non-simultaneous distance learning, LMS-equipped recorded video lecture. It was found that learners perceived social, teaching, and cognitive presence more highly in simultaneous distance classes such as real-time video lectures. This is interpreted that activ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is possible even in non-face-to-face distance lecture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academic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 by classifying non-face-to-face distance classes simultaneously and asynchronously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dditionally, teachers and learners provided a possibility to explore class conversion to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further expanding its advantage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living with the viru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