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501.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시장의 디지털 SCM 실행과 성과에 대한 전자시스템 재고관리와 스마트 전자주문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 of Electronic System Inventory Management and Smart Electronic Order on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CM and Performance in Chinese Market

  • 17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 소재 기업들의 디지털 공급사슬관리(DSCM) 실행과 기업 성과 개념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전자가 후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것을 첫 번째 단계의 연구목적으로 하였고, 두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하여 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 중 전자시스템 재고관리의 실행과 스마트 전자주문의 실행이 정(+)의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는 것을 두 번째 단계의 연구 목표로 설정하였다. 논문구성/논리: 설문에 의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전자가 후자에 미치는 영향 여부는 회귀분석 모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전자시스템 재고관리 실행과 스마트 전자주문 실행이 조절적 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적(위계적) 회귀분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되었다. 결과: 중국 내에 소재한 360개 업체들을 표본으로 하여 설문에 의한 실증 조사가 이루어졌고, 검증 결과 디지털 공급사슬 실행 개념과 기업 성과 개념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회귀 모형에 의한 검증 결과 전자의 변수가 후자의 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두 변수 간 관계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자시스템 재고관리의 실행은 유의한 조절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 전자주문의 실행은 한정적으로만 조절적 효과를 갖는 결과를 얻었다. 독창성/가치: 공급사슬관리의 연구 흐름 내에서 디지털 공급사슬관리(DSCM)라는 최근 각광을 받기 시작한 새로운 개념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역시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기반 기술 중 일부를 선택하여 디지털 공급사슬관리 및 기업 성과와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연구는 찾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의 새로운 시도와 방향이라는 측면에서 이 연구는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 중 일부는 디지털 공급사슬관리와 시너지적 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일부는 정보기술의 생산성 역설 때문에 그렇게 되기까지 시간의 경과가 요구된다는 결과를 제시했다는 실무적 공헌을 제공한다.

Purpose: First, we aim to confirm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as constructs of DIgital Supplier Manage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the former variable to the latter by carrying out empirical researches. Second, we use two technological factors of Electronic System Inventory Management and Smart Electronic Order as new technologies of Industry 4.0 to investigate it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SCM and corporate performance. Composition/Logic: To verify properness of constructs, we implemented validity analysis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measure. F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SCM and corporate performance variables, we carried out regression model analysis A moderate(hierarchia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Electronic System Inventory Management and Smart Electronic Order. Findings: By carrying out empirical surveys to 360 companies in China, DSCM and corporate performance’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We verified that the DSCM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Furthermore, implementing Electronic System Inventory Management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SCM and corporate performance, while implementing Smart Electronic Order only has a limited moderating effect. Originality/Value: We conducted this research which is based on new concept of DSCM. Moreover, this research adds value because few studies have identified relationships among technologies of Industry 4.0, DSCM and corporate performance. We offer a managerial implication and insight that some technologies of Industry 4.0 have synergetic effect with DSCM. In contrast, other technologies need the lapse of time to have that effect due to productivity paradox in IT.

Ⅰ. 서 론

Ⅱ. 관련 기존 문헌 연구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Ⅳ. 연구모형과 가설의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