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직구성원의 이직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이 연구되고 있지만, 조직 내의 분위기를 손상시키고 신규 직원을 채용, 교육하는 과정에서 시간적·경제적 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다. 벤처기업에서는 상사와 구성원 간의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한 이직은 조직의 기술유출, 기술인력망 약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의 이직을 감소시켜야 하며, 이를 예측하기 위해 이직의도에 주목하고 있다. 여러 조직 중, 테크노파크는 기술기업을 지원하는 성격을 지닌 기관으로서, 테크노파크의 조직 구성원이 안정적으로 근무하지 못한다면 지원대상 기업의 육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연구는 테크노파크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정서적 소진이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사의 커뮤니케이션이 정서적 소진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설정하였으며, 테크노파크 종사자 24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라 테크노파크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정서적 소진을 부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사가 협력적인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통제형 커뮤니케이션은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과 조직 차원에서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기존의 수직적-수평적, 공식적-비공식적으로 구분할 것이 아닌 협력형, 통제형, 전문형, 신뢰형 등 성격에 따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산, 울산, 경남 지역 테크노파크에 한정한 조사 과정에서의 한계에 따라 전국 테크노파크 종사자를 대상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Although the positive aspects of employee turnover are being studied recently, there are strong negative aspects such as damaging the atmospher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ncurring time and economic costs in the process of hiring and training new employees. Therefore, the organization should reduce employee turnover, and pay attention to turnover intention to predict this. As one of various organizations that support companies, Technopark may be in problems in fostering the comapnies that it supports if the members of Technopark are not able to work stab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supervisor s communication type and emotional exhaus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chnopark workers. A relation among communication types of their supervisors, emotional exhaution, and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was set, and a self-reported online/off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47 Technopark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fluence on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echnopark worker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type of their boss,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communication type of their boss that partially mediates thr emotional exhaution affects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mplica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