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531.jpg
학술저널

Research on the Effect of Technostress on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Smart Device Properties-Digital Detox as a Controlling Variable

  • 33

정보통신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비롯한 기기는 휴대 편리하고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많은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다. 그렇지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부정적 영향인 테크노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이런 부정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화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속성인 기술적 한계, 복잡성, 변화의 속도는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그 다음으로 테크노스트레스는 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디톡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12 부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미 회수된 설문지와 불성실하게 답변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2 부를 분석하였다. SPSS23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독립변수인 기술적 한계와 변화의 속도가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였지만 복잡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테크노스트레스는 중독경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디지털 디톡스는 조절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속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의 관계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rapidly,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re convenient to carry,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and many conveniences can be brought. However, excessive use will cause technostress, which is a negative effect, and solving these negative problems will be a hot topic.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smartphone attributes such as technical limitations, complexity, and speed of change on technostress. Next, we analyze the effect of technostress on addiction tendency.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detox is verified.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people. A total of 21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202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unrecovered and unfaithfully answered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through the SPSS23 program,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technical limitations and speed of change, had a positive (+) effect on technostress, but complex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stres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echnostr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addiction tendency. Third, digital detox was found to have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device attributes and technostress were examin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 검정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