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짧은 길이로 한정된 시간 동안 주목을 끌고 확실한 내용을 전달해야 하므로 어떻게 메시지를 표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SNS 플랫폼상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메시지와 표현요소의 특성과 그에 따른 콘텐츠 반응성 분석을 통해 향후 SPA 브랜드의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 사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SPA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틱톡의 숏폼 동영상을 분석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PA 브랜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길이는 다양하다. SPA 브랜드는 모델로 전문모델을 주로 사용하며, 제품이나 스타일을 콘텐츠의 주요 내용으로 하여 감성전달적 관점으로 시각적 표현을 가미한 감각적 표현을 위주로 사용하고 있다. 콘텐츠 반응성은 시각적, 청각적 표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 인스타그램의 경우 제품과 서비스에 초점을 둔 시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틱톡은 영상보다 청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크리에이티브에 따라서 인스타그램에서는 극적 표현이 상당히 높은 반응성을 보이고, 틱톡에서는 유머 표현이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소비자의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플랫폼별 특성에 맞는 표현전략을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Short-form video contents have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for a limited time due to their short length and deliver clear content, so how to express the message and creative elements a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using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 for SPA brand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videos on SNS platforms, such as messages and expression elements, focusing on SPA brands, which are fast fashion brands. For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hort-form videos of Instagram and TikTok, which are SNS platforms of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ideo length of the short-form content of the SPA brand varies. It can be seen that the SPA brands mainly use professional models as models, and present products or styles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content. The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differ depending on visual and auditory express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Instagram,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visual performance focused on products and services get high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Also in the case of TikTok,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audio performance production get high reactivities than others. Depending on the creative strategy, dramatic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Instagram and humorous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TikTok. In order to effectively use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s, SPA brands should focus on the creation of content that can get consumer responses within a short time, and use it as a brand marketing tool through an expression strategies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NS platform.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표현요소별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