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70.jpg
KCI등재 학술저널

생애주기별 성인 학습시간의 변화가 주는 시사

‘생활시간조사(1999-2019)’ 자료를 중심으로

  • 225

시간 사용을 보면 사는 방법과 삶의 질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9년까지 5회에 걸쳐 시행된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를 바탕으로 20년간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들의 생활시간이 생애주기별로 어떻게 달라지며, 성인들의 학습활동은 생애주기별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인들은 20년에 걸쳐 개인 유지 시간은 늘었고, 일과 가사노동 시간은 감소했다. 일은 중년기, 학습은 청년기, 개인 유지와 여가는 노년기에 가장 많았다. 둘째, 학습 시간은 모든 조사에서 청년기에 가장 많았으며, 생애주기가 바뀔 때마다 절반 이하로 줄었다.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청년기와 중년기의 학습 시간과 학습 참여율이 늘었으며, 모든 생애주기에서 학교 활동 외 학습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습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참여자의 경우, 청년기와 중년기의 학습 시간이 증가했다. 청년기 학습참여자는 20년 동안 22분 증가했으며, 중년기 학습참여자도 25분 증가했다. 학습유형별로는 학교 활동은 줄었고, 학교활동 외 학습 시간이 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기와 장년기를 위한 맞춤형 직업교육, 장년기와 노년기 대상으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학습장벽을 낮추기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평생교육의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e use of time reflects the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Life Time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onducted five times from 1999 to 2019,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ife time of Korean adults over 20 years of age varies by life cycle, and the learning activities of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how it changes with each cycl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 20 years, adults had an increase in personal maintenance time and a decrease in work and housework time. Work was highest in the middle age, learning in the youth, and personal maintenance and leisure time in old age. Second, the learning time was the highest in youth in all surveys, and decreased by less than half every time the life cycle changed. Looking at the trend of change, learning time and participation rate increased in youth and middle age, and it was found that out-of-school learning was the type of learning that spent the most time in all life cycles. Third, in the case of learning participants, the learning time during youth and middle age increased. The learning time in youth learning participants increased by 22 minutes over 20 years; and learning time in middle-aged learning participants increased by 25 minutes. By learning type, school activities decreased and out-of-school learning time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customized vocational education for middle age, programs to find the meaning of life for old age,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to lower learning barriers as policy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