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74.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가정 자녀 동요교육의 필요성과 동요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Need for Nursery Rhyme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ffect of Nursery Rhymes

DOI : 10.47949/gas.2021.32.003
  • 129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와 아동의 한국어 언어능력 증진과 문화 이해 및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 동요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동요가 유아와 아동의 언어능력 증진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문해력 개발의 기초로서 두뇌의 발달과 더불어 정서적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점증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화 부적응 예방을 위한 하나의 조기 접근 방법으로 동요교육의 역할과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유치원 동요교육의 현실과 다문화가 정 아동의 한국어 음운 및 통사적 활용의 오류를 살펴보고 모범적인 한국 동요교육의 사례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자녀 동요교육의 방향을 제안한다. 더불어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성 확립의 첫 단추는 결국 한국어 수행 능력으로 귀착됨을 인식하고 한국 정착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동요가 일석이조의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and necessity of Korean nursery rhymes to promote Korean language ability, cultural understanding, and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nursery rhymes not only help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of infants and children, but also help develop brain as well as emotional stability as a basis for literacy development, The role and effect of nursery rhyme education will be reviewed as an early approach to prevent socialization mal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ality of kindergarten nursery rhymes education and errors in Korean phonological and syntactic us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reviewed and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in children s song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exemplary Korean nursery rhymes education. In addition, the first step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s to recognize that they ultimately lead to Korean language performance skills and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nursery rhymes can have the effect of one stone and two birds as one of the main elements of Korean settlemen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Ⅰ. 들어가는 말

Ⅱ. 동요의 효과

Ⅲ. 다문화가정 자녀 동요교육의 필요성 분석

Ⅳ.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