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정보보호산업의 경제 파급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dustry
- 장철호(Jang, Chulho)
- 한국경제통상학회
- 경제연구
- 經濟硏究 第39卷 第4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1
- 111 - 131 (21 pages)
본 연구는 4차 산업의 데이터 경제를 주도할 개인정보보호산업의 경제 파급효과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파급효과 분석에 주로 이용되는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정보보호산업의 후방생산유발계수와 전방생산유발계수는 각각 2.2290과 1.6672로 분석되었으며, 부가가치유발계수는 1.0467로 분석되었다. 개인정보보호산업 10억 원 투자 증가 시 4.8682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나타났으며, 1원 공급 지장은 산업 전체적으로 0.29397만큼 감소가 발생하였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산업 최종 생산물 가격 5% 상승에 따른생산자물가지수는 0.21388%, 소비자물가지수는 0.20375%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정보보호산업은 후방연쇄효과보다 전방연쇄효과가 더 큰 중간 수요적 원시산업형으로, 기술혁신에 따른고부가가치산업으로 향후 산업의 중요도 및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dustry is increasing in importance due to the development of Data Economy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tc. This study was analyzed the economic impac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dustry in Korea by using the 2018 I-O table data. It was classified industrial sectors in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ducts and services industries, and the reclassified the Input-Output table into 34 industries. And it was estimated the economic ripple effects(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etc.)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dustry.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at research, meaning that stakeholder in related industries can be used specially and used as basic data for government policy decisions.
Ⅰ. 서론
Ⅱ. 국내외 보안시장 동향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