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뢰즈의 정치철학으로서의 구성주의적 제도이론
Théorie d’institution constructiviste en tant que philosophie de la politique chez Gilles Deleuze basée sur la lecture deleuzienne autour de Hume
들뢰즈 혹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치철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프로이트-마르크스적 전통 속에서 전개되어왔다. 더 정확히는 네그리, 하트 등으로 대표되는 맑스주의자들에 의해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독해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들뢰즈의 사상사 전체를 통해 아직까지 주목받지 못한 들뢰즈의 흄 독해에 근거하여 들뢰즈의 정치철학에 대한 다른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흄에 대한 저서는 들뢰즈의 첫 저작이지만 니체와 스피노자에 대한 연구에 가려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고, 그에 근거한 정치철학의 가능성은 더욱이 환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사망 전 네그리와의 대담에서 다시금 흄에게서 발견한 <제도>에 대한 평생의 관심을 드러냈고, 대의가 아닌 창조로서의 정치에 대해 역설했다. 또한 주체와 공동체에 대한 네그리의 질문에는 민중과 세계에 대한 믿음으로 답하였다. 이에 우리는 제도 이론으로서의 들뢰즈의 정치철학이 흄에 대한 독해로부터 시작하여 󰡔자본주의와 분열증󰡕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성적 실천과 소수적 사용의 개념으로 이어지고 또 발전하였다고 논증하고자 한다.
Différemment des études existantes sur la philosophie de la politique chez Gilles Deleuze orientées à la voie freud-marxiste, nous essayons de l’examiner basée principalement sur l’ouvrage d’aurore, Empirisme et subjectivité, lecture de Deleuze sur Hume. L’attention sur cet ouvrage était moins sous feu des projecteurs que des autres travaux deleuziens sur les philosophes précédents. Comme l’entretien avec Antonio Negri fait en 1990 nous montre, son intérê̂t à la politique basé sur le concept de l’institution développé à partir de la philosophie humienne et son empirisme durait tout au long de sa vie de pensée. Alors, nous essayons de fouiller et développer spécialement le sens et la valeur des concepts de l’institution et la crédibilité chez Hume, et leur continuité et leur transvaluation dans la philosophie deleuzienne en tant que des concepts comme le praxis constructiviste et l’usage minoritaire. En base de cette examination, nous pouvons accéder à la philosophie politique deleuzienne par une autre et nouvelle voie que celles d’existantes.
1. 들어가는 말
2. 창조로서의 정치
3. 사회의 탈주
4.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