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진행된 녹내장 환자에서의 맥락막두께

Choroidal Thickness in Advanced Glaucoma Patients

목적: 진행된 녹내장 환자에서 녹내장의 분류에 따른 맥락막두께를 비교하고 관련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Mean deviation 값이 -12 dB 이하의 진행된 녹내장 환자 133명의 133안을 대상으로 원발개방각녹내장과 정상안압녹내장 두 군으로 분류한 후 황반하 및 유두주위 맥락막두께를 비교하였다. 또한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황반하 및 유두주위 맥락막두께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평균 유두주위 맥락막두께는 정상안압녹내장에서 99.20 ± 46.85 μm로 원발개방각녹내장의 121.85 ± 45.39 μm에 비해 유의하게 얇았으며(p=0.006), 구역별 비교에서도 모든 영역에서 정상안압녹내장이 원발개방각녹내장에 비해 얇은 맥락막두께를 보였다(모두 p<0.05). 유두주위 맥락막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에서 녹내장의 분류(p=0.007), 나이(p=0.005), 기저안압(p=0.024)이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황반하 맥락막두께는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나이(p=0.029)와 황반두께(p=0.002)가 유의한 연관이 있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진행된 녹내장에서 낮은 기저안압, 정상안압녹내장 및 고령은 얇은 유두주위 맥락막두께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얇은 유두주위 맥락막과 정상안압녹내장의 병인의 연관성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녹내장의 병인에 있어 맥락막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Purpose: We investigated choroidal thicknes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glaucoma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advanced glaucoma.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133 eyes of 133 advanced glaucoma patients with a mean deviation of <-12 dB.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 and normal-tension glaucoma (NTG) groups. Factors related to the subfoveal and peripapillary choroidal thickness were analyz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peripapillary choroid thickness was 99.20 ± 46.85 μm in the NTG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thinner than in the POAG group (121.85 ± 45.39 μm, p = 0.006). Additionally, in the sectoral comparison, the NTG group had thinner choroids than the POAG group in all areas (p < 0.05 for all). I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glaucoma class (p = 0.007), age (p = 0.005),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p = 0.024)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ipapillary choroid thickness. Moreover, age (p = 0.029) and macular thickness (p = 0.00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foveal choroid thickness. Conclusions: In advanced glaucoma, low baseline IOP, NTG, and old 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thin peripapillary choroid, suggesting an association between thin peripapillary choroid and the etiology of NTG.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a thin choroid in the pathogenesis of glaucoma.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