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적학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Cadastrology
- 강한빛(Kang, Han Bit) 이범관(Lee, Beom Gwan)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7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2
- 211 - 224 (1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지적학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회지 논문에 대한 연구동향을 조사・분석하여 최근 지적학 관련 연구의 흐름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시간적 범위는 2005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고, 공간적으로는 한국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위논문과 관련하여 첫째, 기초이론분야에 대한 연구는 모든 대학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대학별로는 한성대학교(15.4%), 목포대학교(12.5%), 경일대학교(10.7%), 서울시립대학교(10.5%), 청주대학교(3.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용이론분야에 대한 연구는 지적기술, 지적행정, 지적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3년도를 기점으로 학위취득자가 크게 증가하였고, 2015년도에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 학회지 논문과 관련하여 첫째, 지적학 관련 논문 게재 비율은 한국지적학회지(67.0%), 지적과 국토정보(56.1%), 한국지적정보학회지(41.2%)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지별 게재 비율이 높은 분야는 공통적으로 지적기술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지적학회지를 제외한 나머지 두 학회지의 경우 지적학 관련 논문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firm the recent flow of cadastrology-related research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involving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cadastrology, from 2005 to the present, and offer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se trends.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such a research purpose, the temporal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period starting from 2005 to the present, and the spatial scope was limited to Korea.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e investigation method involved the use of bot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and in terms of analysis method, descriptiv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 with regard to dissertations, a low number of studies in the field of basic theory across all universities, with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of Hansung University(15.4%), Mokpo National University(12.5%), Kyungil University(10.7%), the University of Seoul(10.5%), and Cheongju University(3.4%). Second, studies in the field of applied theory were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of cadastral technology, cadastral administration, and cadastral investigation. Third, degree recipients hugely increased starting in 2013 and temporarily decreased in 2015. Regarding dissertations, the percentage of article publications related to cadastrology was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67.0%), Journal of Cadastre and Land InformatiX(56.1%), and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41.2%). Second, the field with a high publication percentage for each of the journals was commonly cadastral technology. Third, the two journals besid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appeared to be gradually decreasing in their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cadastrology.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지적학의 연구동향 실태
4. 실태 분석 및 시사점
5.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