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세 영국의 과세대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 Taxation Register in Middle-Ages of UK: Based on the Domesday Book

  • 71
160702.jpg

지적의 발생설 중 과세설(Taxation Theory)은 국가가 과세를 목적으로 토지에 관한 각종 현상을 기록, 관리하는 수단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 대학의 지적학 교육내용에 있어과세설의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하는 것 중의 하나가 영국의 토지대장인 둠즈데이 북(Domesday Book)이다. 특히 해외에서는 데인겔드(Danegeld)와 같이 둠즈데이북과 관련된 다수의 연구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소수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세 영국의 토지제도를 고찰하여 소개하고, 둠즈데이북의 연구를 통하여 지적의 기원 중 하나인 과세설의 이론적 뒷받침에 일조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적 범위는 둠즈데이북이 제작시기 전・후를 기준으로 하였고 연구범위는 영국의 과세제도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과세지적에 있어 중요한 기록물인 둠즈데이북이 갖고 있는 의미와 제작과정의 해석, 그에 따른 영향과 효과들을 지적학의 이론적 발전 차원에서 검토 하였다.

Taxation theory which is one of the origin theories of cadaster has a meaning that a nation record and manage on the actual situation on the purpose of land tax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ext book, UK land register Domesday Book has been introduc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 lot of researches on Danegeld and Domesday Book have been conducted in foreign countries but there is only few researches in domes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introduce land taxation system in the Middle-Ages of UK and support a theoretical background cadastral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scope has limited to the same period of Domesday Book and UK land taxation system and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ing research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From this research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production of Domesday Book has been reviewed in terms of important land record in taxation cadaster.

1. 서 론

2. 중세영국의 시대적 상황

3. 중세 영국의 과세제도(Taxation in medieval England)

4. 둠즈데이 북

5.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