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829.jpg
KCI등재 학술저널

안성천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마한 세력의 동향

A Study on the Movements of the Mahan Forces in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 Hansung Baekje Period

DOI : 10.46760/jbgogo.2021.20.3.29
  • 382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백제는 마한 세력을 장악하기 위하여 도성의 동쪽 남한강을 따라 남하 정책을 강력하게 펼친다. 이와 더불어 도성(풍납토성)의 서쪽으로는 탄천과 안양천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 결과 (원)삼국시대 경기도 지역에는 청동기시대와는 다른 위치에 다수의 新村이 등장한다. 특히 경기 동부지역에서 신촌 건설 현상이 두드러진다. 경기 남부 안성천유역권의 마한 취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릉의 정상부→사면→말단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마한의 주거는 방형을 기본으로 하여 비주식→사주식→호서형 사주식→비사주식 구조로 변화하고, 노시설은 편측 무시설식→부뚜막→외줄구들→기반토식 외줄구들로 발전한다. 사주식주거는 AD 2C 후엽 전후시점에 등장하여 AD 5C 전반까지 지속되며, AD 4C 중엽에는 호서형 사주식주거도 등장한다. (원)삼국시대 안성천 본류 남쪽지역의 분묘 주축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한 것이 대다수이지만, 황구지천과 오산천은 등고선과 직교한 것이 다수이다. 이것은 초기철기시대 토광묘의 주축방향(직교)을 계승한 결과이다. 아울러 AD 2C대에는 안성천유역권에 주구 요소가 채용되는데 마한의 환황해노선 복원에 따른 서북한지역 묘제의 2차 파급 결과로 추정된다. 안성천유역권 이형토기, 유개대부호, 백색토기옹은 배타적 분포 정형을 보임에 따라 마한계문화권 내에서도 세력이 다른 지역 집단이 다수 존재하였음을 보여준다. 취락 내 출토 철기류는 진위천과 오산천 상류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마한과 외부세력 간의 갈등 관계를 반영한 결과이다. 안성천유역권은 4C 전반까지 주거, 토기 등 마한의 재지적 물질자료를 공유하였다. 그런데 4C 중엽부터 탄천-오산천 루트로 백제토기가 유입되고, 안양천-황구지천-진위천 루트로 여·철자형주거가 확산되면서 물질자료의 성격이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4C 후반 내지 5C 전반부터는 안성천유역권에 백제의 성곽과 고분이 본격적으로 축조되면서 백제화가 가속화된다.

For the purpose of conquering the Mahan forces, Baekje adopted a tight southward expansion policy, centered around the Namhan River to the east of the capital city. To attain such a purpose, Baekje proactively accommodated the Tan and Anyang Streams to the west. In the Gyeonggi are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new settlements were built in places different from those where Bronze Age settlements had been located. These developments in which new settlements were being built were frequently found, especially in the eastern parts of Gyeonggi. The settlement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of the south of Gyeonggi moved from crest to hillslope to the distal end of hilly lands, as time passed by. The house structures changed in the following manner: non-pillar type dwellings → four-pillar type dwellings → four-pillar type dwellings of the Hoseo area → non-four-pillar type dwelling. In addition, the hearth facilities changed in the following manner: tilted brazier → kitchen range → tunnel-shaped heating system → raw soil type tunnel-shaped heating system. Four-pillar type dwellings came to the fore in the late second century CE, and continued until the early fifth century CE. In the mid 4th century CE, the four-pillar type dwellings of the Hoseo area emerged. Located at the main tributaries of the Anseong Stream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 most tombs were laid out to be parallel to the contour lines of the hill. Howeber, in the areas of Hwangguji Stream and Osan Stream, the tombs were laid out at a right angle to the contour lines. This is belived to be a result of the continuation of the principal axis of the pit burials of the early Iron Age. In the second century CE, the ditches surrounding tombs were introduced into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These developments are estimated as the rippling effect of the tombs of northwestern Korea, caused by the restoration of the trade route of Yellow Sea. Earthenwares of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each show a different distribution range. Irons unearthed in settlements are concentr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Jinwi and Osan Streams, which is the result of conflict between Mahan and external forces.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shared a common material culture, including house sites and earthenwares, until the early fourth century CE. From the mid-fourth century CE and onwards the Tan Stream - Osan Stream route was connected to introduce Baekje earthenwares. With the expansion of new house types, the character of the material culture changed. Baekje fortresses and ancient burial mounds began to advance into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from the late fourth century CE to early fifth century CE. From that time onwards, Baekje centralization was accelerated.

Ⅰ. 머리말

Ⅱ. 안성천유역 마한 취락의 양상

1. 경기도 (원)삼국시대 주거 양상

2. 안성천유역 마한 주거 양상

Ⅲ. 안성천유역 마한 분묘의 양상

1. 마한 분묘의 주축방향

2. 마한 분묘의 주구 도입과 백제 묘제의 등장

Ⅳ. 안성천유역 마한 유물의 양상

1. 토기류

2. 철기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