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8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부지역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직무소진 정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지 관련성

Relevance between job burnout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service workers in some areas

  • 9

본 연구는 일부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소진의 정도를 측정하고 턱관절 장애, 구강악습관, 구취의 구강내 불편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주관적 구강건강인지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2020년 6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G시에 소재한 서비스업종 관련 근무자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46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Version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직무소진 및 구강내 불편감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를 사용하였다. 직무소진과구강내 불편감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고, 직무소진에 대한 구강내 불편감의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직무소진 중 비인격화는 1단위 증가하게 되면 구강내 불편감은 0.153 증가하였고, 성취감 감소는 1단위 증가하게 되면 구강내 불편감은 0.267 증가하여 직무소진과 구강내 불편감 정도를 나타내는 주관적 구강건강인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소진의 정도를 낮출 수 있는 대처방안 및 구강건강증진에 필요한 프로그램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job burnout of some service workers and to analyz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perception relationship indicating the degre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ral bad habits, bad breath and oral discomfort, 462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For data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requently analyzed using SPSS 25.0 Vers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job burnout, and intraoral discomfort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and post-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cheff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job burnout and intraoral discomfor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e effect of intraoral discomfort on job burnout. During job burnout, depersonalization increased by 0.153 when 1 unit increased, and in achievement reduction, intraoral discomfort increased by 0.267, indicating the degree of job burnout and intraoral discomfort. Based on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service workers,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stress-related coping methods and programs necessary for oral health promo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제언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