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8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의 의미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meaning of work

  • 368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일의 의미 관련 변인 연구를 종합하여 각 변인과 일의 의미 간의 관계를파악하고, 변인 간의 효과크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1년 7월까지일의 의미를 주제로 발간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63편을 선정하였으며, 일의 의미와 관련된 변인을 개인요인 8개, 조직요인 12개로 구분하여 효과크기를 추출하였다. R프로그램 4.0.3의 메타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와 관련된 개인변인은 번영, 삶의 만족, 삶의 의미, 소명의식, 소명수행의식, 소진, 일과 삶의 균형,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이 중에서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변인은 소명 관련 변인(소명의식, 소명수행의식)이었으며, 다음으로 번영, 삶의의미와 삶의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의 의미와 관련된 조직변인은 직무열의, 조직몰입, 잡크래프팅, 직무만족, 개인-직무적합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정서적 몰입, 혁신행동, 직무성과와 정적 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가 있었다. 정적 관계에서는 직무열의의 효과크기가가장 컸고, 부적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의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For this reason, 63 paper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s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8 individual variables and 12 organizational variables were derived, and the effect siz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For analysis, the meta-analysis package of R program 4.0.3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were flourishing, life satisfaction, meaning of life, calling, living a calling, burnout, work-life balance, and self-efficacy. Among them,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was the calling and the living a calling. Second, organizational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 eng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individual-job suitabili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motional commitment, innovation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job enthusiasm ha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job stres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increase the level of meaning of work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