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on Tourism Satisfac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 배승현(Bae, Seung Hyun)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사회융합연구
- 제5권 제6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12
- 33 - 46 (14 pages)
본 연구에서는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을 구성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관광 만족도와 온라인 구전 간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해외 관광 경험이 있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전문기관을 통한 인터넷 조사를 통해 425부를 수집한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을 도출하고,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5요인 (현지 가이드경험, 인프라 경험, 이국적 경험, 자기 유익경험, 동반자 유대경험) 모두 관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온라인 구전과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요인 중 자기 유익 경험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memorable travel experience and to ver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able travel experience and tourism satisfaction and Online Word-of-Mouth(eWOM). The scope of the study was aimed at Koreans with overseas tourism experience within the last 5 years. The investigation method demonstrated 425 copies of the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an Internet survey through a specialized institution. The factors were deriv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easi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was verifi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ve factor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local guide experience, infrastructure experience, exotic experience, self-benefit experience, and companionship experience)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only self-benefit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online word of mouth among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factors. Based on th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