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아파트 경매 특성에 관한 지역별 비교 분석
강남 및 강북지역을 중심으로
- 오대희(Oh, Dae Hee) 박문수(Park, Mun Su)
- 대한부동산학회
- 대한부동산학회지
- 제6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2
- 25 - 44 (20 pages)
주택시장에서 매매가격이 상승하면 법원 경매정보의 낙찰가율이 상승하는 게 일반적인 부동산 현상이다. 그런데 서울의 강남 및 강북지역별 하위 주택시장 상호 간에는 매매가격 상승 률과 낙찰가율의 크기와 방향은 다른 패턴이 존재한다. 따라서 주택시장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장에서 세분화된 지역별 하위 주택시장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인식에서, 본 연구는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의 아파트 경매시장의 경매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가낙찰 모델과 법원 경매정보 낙찰가율은 강남지역이 강북 지역에 비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시점수정 낙찰가율은 강남지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 개별공시지가 상승률, 매매 거래 량은 강남지역이 강북지역에 비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낙찰 소요 기간과 최고 층수는 강남지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강남지역 경매시장은 낙찰 결정 특성 변수의 상승률이 반영된 상승국면에서 낙찰가격과 매매가격의 격차가 크지 않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It is a common occurrence of the real estate industry that when the sale price rises in the housing market, the successful bid rate for the court auctions rises as well. However, there are different patterns of the sizes and directions of the sale price growth rate and the successful bid rates Gangnam and Gangbuk areas among subsets of the overall housing marke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housing market dynamic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se subsets segmented in the overall market.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successful bid rates and their influence factors of the apartment auction market in the Gangnam (south of the Han River) and Gangbuk (north of the river) area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 price successful bid models and court auction information successful bid rat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angnam area compared to Gangbuk, and the time-adjusted successful bid rate had a negative effect on Gangnam.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growth rate of apartment units announcement price, the growth rate of individual land announcement price, and the trading volu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angnam area compared to Gangbuk, while the period required for successful bids and the number of the highest floors had a negative effect on Gangnam. Through this, the auction market in the Gangnam area implies that the gap between the winning price and the selling price is not large in the upward phase reflecting the increase rat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ning bid decision variabl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