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용부동산 가치는 DCF기법의 활용으로 상업용부동산의 자체적인 기본적 NOI(순운영 소득)을 근간으로 NOI의 극대화의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도심권역, 강남권역, 여의도권역, 기타권역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권역별 NOI와 공실률를 비교하였다. Granger인과검정 결과에 의하면 유일하게 공실률이 강남권역에 인과하였으며 강남권역 NOI에 외생성이 강한 변수는 거시경제변수들 중에서 고용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분검정 결과 장기균형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VECM모형을 이용하여 각각의 권역과 거시경제변수들과의 관계가 장기균형에서 벗어나는 경우 각각의 권역이 단기적으로 변화와 균형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분석을 통하여 외생변수들의 충격에 의하여 내생변수들의 반응의 정도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권역 중에서 기준금리의 충격으로 도심권역과 강남권역에서 양의 반응이 나타났다. 여의도권역에서는 고용률과 실업률의 충격 으로 음의 방향으로 하향하는 추세로 이어지고 있었으며 기타권역에서는 유동성이 장기적으로 양의 방향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실증분석되었다. 분산분해분석 결과 도심권역과 강남권역에서는 고용률, 여의도권역과 기타권역은 유동성이 장기적으로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실증분석되었다.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NOIs and vacancy rates of each district by classifying them into Seoul s downtown area, Gangnam area, Yeouido area, and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 test, the only vacancy rate was causal in the Gangnam area, and the employment rate among macroeconomic variable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strong exogenous variable on the NOI in the Gangnam area. Using the VECM model, it was found that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gion and macroeconomic variables deviates from the long-term equilibrium, each region changes in the short-run and restores the equilibrium. As a result of the shock response analysis, positive responses were found in the downtown area and the Gangnam area to the shock of the base rate among each area. In the Yeouido region, the impact of th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s led to a downward trend in the negative direction, and it was empirically analyzed that liquidity in other regions was rising in the long-term positive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decomposition, it was empirically analyzed that the employment rate in the downtown area and Gangnam area, and liquidity in the Yeouido area and other areas have a large long-term effect.
Ⅰ. 서론
Ⅱ. 오피스시장의 이론적고찰
Ⅲ. 실증분석과 연구결과
Ⅳ.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