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의 의식화 교육론을 통한 기독교 공공교육론

Christian Public Education through Paulo Freire’s Theory of Consciousness Education

  • 368
160870.jpg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론의 사상적 접근을 통해서 그가 어떠한 사상적 기반을 통해서 ‘의식화 교육론’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프레이리는 그의 초기 저서 『페다고지』에서 ‘의식화’ 교육론을 주장한다. 19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시대라고 불리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그의 말년의 저서들과 실천을 통해서 ‘의식화’의 필연성에 대해서 계속해서 주장한다. 특히 그는 1990년대 이후의 세계 자본에 의한 자본주의 모순의 확대와 신자유주의적 교육 정책에 대해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를 높인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보수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진보적 측면을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이런 프레이리의 교육론의 성찰은 우리에게는 새로운 교육적 과제를 제시하게 된다. 특히 그의 ‘의식화 교육론’을 통해서 그가 어떻게 화해와 해방의 교육으로 나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것이 해방교육과의 대화를 통하여 시민 사회를 분석하게 하며 해석학적으로 공공교육과 책임과 성숙한 민주주의 의식을 함양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오늘날 기독교교육이 공공교육론으로서 시민 사회 안에서 다양한 공공의 영역들에서 갖추어야 할 교육적 목적을 제시하게 된다.

The ideological approach of Paulo Freire’s theory of education develops the notion of consciousness education. In his early book Pedagogy of the Oppressed, Freire makes an argument for ‘consciousness’ education. Even in the era of neoliberalism since the 1990s, he continued to insist on the need for ‘consciousness’ in later books and practices. Concerns and opposition were raised to the expansion of capitalist contradictions and neoliberal education policies by global capital since the 1990s. In particular, he criticized the conservative tendency of postmodernism and attempted to accept the progressive aspects of postmodernism. Freire’s reflection on the theory of education presents new educational challeng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he is moving toward an education of reconciliation and toward liberation through the theory of consciousness. Civil society can be analyzed through dialogue with liberation education, and crit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ublic education, responsibility, and mature democratic consciousness are provided. Considering that Christian education is now a theory of public education, educational objectives that must be met in various public aspects are also presented.

Ⅰ. 들어가는 말

Ⅱ. 프레이리의 삶과 페다고지의 담론

Ⅲ. 프레이리 교육 사상과 방법론

Ⅳ. 비판적 평가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