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집합건물의 관리규약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agreement in a condominium

최근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를 둘러싸고 그 건물의 특성 때문에 많은 분쟁 등이 발생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즉, 구분소유자간의 첨예한 이해대립 등 때문에 충분히 그 분쟁을 예상할 수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과거부터 구분소유자가 집합건물의 소유와 관리 등에 있어서 준수하여야할 규범이 필요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1984년 4월 10일 법률 제3725호)을 제정하였지만 그 법률 자체만으로는 위와 같은 모든 분쟁을 해결할 수 없어 스스로 필요한 자치규범의 제정을 많은 부분에서 주문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다른 선진국들과 달리 그다지 자치규범의 제정 및 활용이 미약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은 자치규범인 규약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꽃에 해당하는 개별적⦁구체적인 규약의 활용을 강조하고자 그 필요성, 외국의 상황 등을 중심으로 우리에게도 유익함을 정리하였다.

We must manage a building, the site and the attached facilities with indispensability jointly in a condominium but surrounding the use and possession of it. But Because of the interest opposition between unit owners, we can predict to dispute occurs in full degree. We have needed the rule that an unit owner must obey about the mangement and use of the codominium and the condominium law have enacted clauses that if the law didn`t regulate the matter which manage the condominium between unit owners, an association can decide it as an agreement. Accordining to the condominium law we can make the agreement, bylaw etc in a range protecting it. but the utilization of the management agreement is very formal practically in our country. And the management of condominium tends to depend on the Housing Act and its An enforcement order. So condominium act is not used like other countries. But in spite of this situation, I want to emphasize making and practical use of it. Because It`s the model that is very important cultivating inhabitants consciousness so that it is assumed that it is the core of the self-government model. We must study it a little more to be able to become the space where it can be incarnated an idea of the welfare as the life space that a condominium is happy. And an effort for making and the spread of subdivided substantial agreements is needed acutely. So I write this article.

Ⅰ. 시작하면서

Ⅱ. 규약에 대한 몇 가지 검토

Ⅲ. 결어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