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891.jpg
KCI등재 학술저널

강원도 아동주거빈곤가구의 유형별 주거만족도 분석

Analysi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y Type of Children’s Housing Poverty Households in Gangwon-do

  • 55

본 연구는 강원도 주거빈곤아동을 대상으로 유형별 주거실태과 주거만족도를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전국의 주거빈곤아동은 94만 4천명으로 전체 아동의 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강원도의 주거빈곤아동은 3만 1천339명으로 11.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원도의 주거빈곤 아동에 대한 주거문제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심각한 수준이나 관련 실태조사 및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18개 시·군의 아동주거빈곤가구를 대상으로 주거현황과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택수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지방정부 차원의 주거지원 대상을 발굴하고 및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주거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housing status and housing satisfaction by type for Children s Housing Poverty Households in Gangwon-do. Although the problem of Children s Housing Poverty Households in Gangwon-do is the third most serious in the country, it is difficult to find a target for housing support and to find policy alternatives due to the lack of related fact-finding and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deriving the direction of housing policy support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housing condition, factors affecting housing satisfaction, and housing demand forChildren s Housing Poverty Households in 18 cities and counties of Gangwon-do. wanted t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were housing needs for Children s Housing Poverty Households in Gangwon-do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housing characteristics and housing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housing conditions. Since Gangwon-do s housing support policy has a large influence on the accessibi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promote housing support that can increase accessibility and to form a social housing support network through the communi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