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8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시장 상권크기에 따른 매출 영향요인 분석

아케이드 설치여부를 중심으로

  • 36

1996년 유통산업의 개방에 따른 대형점포 급증과 교통 및 인터넷의 발달 등 소비패턴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패턴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통시장 매출은 2005년 32조에서 2018년 23.9조로 감소했다. 정부는 2004년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 2009년「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으로 개정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문소비자 증가를 위해 시설현대화 및 경영현대화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시설현대화 사업 중에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아케이드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앞으로 도시계획은 도시공간을 사람들이 방문할 가치가 있는 매력적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연 아케이드 설치를 통해 전통시장을 폐쇄된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전통시장을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방법인 것인지에 대해서 의문이 든다. 아케이드를 통한 전통시장의 공간의 개념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아케이드가 전통시장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즉, 아케이드가 전통시장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국 1,662개 전통시장에서 아케이드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케이드는 전통시장의 매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2) 지역상권형과 근린상권형과 같은 인접 상권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시장의 아케이드는 매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Consumption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large market chains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internet. The pace of changes in lifestyle is expected to accelerate further due to COVID-19. Therefore, traditional market sales decreased by about 8 trillion won in 2018 compared to 2005. The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gerneral support to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s and management modernization projects. In particular, the arcade installation has been supported at a huge cost. However, it is wondered whether creating a traditional market as a closed space through arcade installation is encouraging in future urban planning. In order to discuss the concept of space through arcades,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s of arcades on sales in traditional marke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w arcades affect sales in 1,662 traditional markets nationwid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clarifyed that arcad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ales in the entire model of traditional markets. 2) It was confirmed that arcad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ales in traditional markets that target adjacent commercial district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조사설계

Ⅳ. 전통시장 매출영향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