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보유 여부에 따른 소비지출 격차 요인 분해
Decomposition of the consumption expenditure disparity factors in relation to real estate assets ownership: a focus of the debt variables of low-income households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住居環境 제19권 제4호 (통권 제54호)
-
2021.1235 - 51 (17 pages)
-
DOI : 10.22313/reik.2021.19.4.35
- 52

본 연구는 4개년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갖고 부동산 자산 보유여부에 따라 소비지출의 격차를 Oaxaca 요인 분해방식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첫째, 부동산 보유여부에 따른 소비지출의 차이는 959.8만원으로 나타난다. 이를 특성효과와 계수효과로 세분하면 가구주의 인구 사회학적 그리고 경제적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 특성효과가 88.8%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 또는 부동산 보유에 따른 차별 효과인 계수효과가 1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적인 소비지출 격차를 분해하면 가처분소득, 연령 및 가구원 수가 격차를 크게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셋째, 부채를 부담 부동산 보유 가구는 일정 수준까지는 소비격차를 증가시키지만 그 수준을 넘어서면 격차를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계수효과상으로는 소득 2분위의 부동산 보유가구는 부채가 규모에 관계없이 소비지출 격차를 축소시키고 있다. 이는 원리금 상환여력이 취약한 계층에서는 부채 변수가 자산효과를 일정부분 상쇄하는 것을 함의한다.
Using the data of the Korean Household Financial and Welfare Survey, this paper decomposes the consumption expenditure disparity factors in relation to real estate asset ownership applying the Oaxaca decomposition method. As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difference in consumption expenditur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eal estate assets is owned is 959.98 million won. This can be subdivided into the characteristic effect and the coefficient effect, the characteristic effect that can be explained by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er is 88.8%, and the coefficient effect,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se characteristics or the discriminatory effect according to the ownership of real estate, accounted for 11.2%. Second, when the detailed consumption expenditure gap is decomposed, disposable income, age,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ppear to be factors that greatly increase the gap. Third, households with real estate bearing debt increase the consumption gap up to a certain level, but when it exceeds that level, it acts as a factor to narrow the gap. However, in terms of coefficient effect, households holding real estate in the second quintile of income are narrowing the gap in consumption expenditure regardless of their debt size. This implies that the debt variables partially offset the asset effect in those who have weak principal and interest repayment capaci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모형 및 자료
Ⅳ. 분석결과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