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18.jpg
KCI등재 학술저널

차이연령과 외모만족도가 시니어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시간조망과 추구혜택의 매개효과

  • 93

본 연구는 시니어 소비자의 차이연령과 외모만족도가 시간조망과 기대된 화장품 추구혜택을 매개로 하여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시니어 화장품 제품 개발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국내 만 55세 이상 남녀 총 224명의 조사 대상자로부터 설문 조사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차이연령은 시간조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화장품 구매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외모만족도는 시간조망과 기대된 화장품 추구혜택을 거쳐 화장품 구매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다만, 차이연령과 기대된 화장품 추구혜택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차이연령과 화장품 구매행동간의 직접적 관계를 설명하는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시간조망과 기대된 화장품 추구혜택의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시니어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행동이 유발되는 매커니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시간조망과 기대된 화장품 추구혜택을 시니어 소비자 대상의 화장품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직접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 cosmetics products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strategie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difference ag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f senior consumers on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through time perspective and expected cosmetic benefits sough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from a total of 224 male and female subjects 55 years of age and older in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ime perspective, which in turn led to the purchase of cosmetics.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cosmetics purchase through time perspective and expected cosmetic benefits sought. However, there wa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 age and the expected cosmetic benefits sought. This study expands on the existing research that explains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 age and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and introduces the parameters of time perspective and expected cosmetic benefits sought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mechanism that triggers the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of senior consumers. This study also provides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 time perspective and the expected cosmetic benefits sought can be directly used in cosmetics marketing communication for senior consumers.

Ⅰ. 서 론

Ⅱ. 차이연령과 외모만족도에 대한 문헌 연구

Ⅲ. 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실증분석

Ⅵ. 토 의

Ⅶ.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