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청년층 인구이동의 경제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nomic and socio-cultural factors affecting the migration of youths in local areas: Focusing o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한국정책개발학회
- 정책개발연구
- 정책개발연구 제21권 제2호
-
2021.12177 - 205 (29 pages)
-
DOI : 10.35224/kapd.2021.21.2.006
- 399

청년층 인구이동으로 인한 인구감소의 문제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의 경제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지역의 청년층 인구이동에 미친 영향력을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및 2018년 대구사회조사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기초통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6년 이후 대구시 청년층의 순이동은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대구시를 서울시와 경기도와 비교하였다. 사업체의 수의 증가, 특히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체의 수의 증가, 고용인 수 및 고용률에서 서울시와 경기도가 대구시보다 월등히 앞서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성별, 대구시에서 거주기간,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문화예술시설에 대한 만족도, 차별에 대한 의식 정도, 복지시책에 대한 만족도, 대구시민으로서 자긍심이 대구 지역 청년층의 지역정주의사에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20대와 30대 청년층이 지역으로 유입 또는 정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due to the migration of the youth population may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region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factors on the migration of young people in the region, focusing o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 data of Statistics Korea and the 2018 Daegu Social Survey data. After confirming that the net movement of young people in Daegu City has been centered on Seoul and Gyeonggi-do since 2016, the study compared Daegu City with Seoul city and Gyeonggi-do. It can be seen that Seoul and Gyeonggi-do are far ahead of Daegu in terms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especiall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arge-scale businesses with more than 1,000 employees, and the employment rate. In addition, gender, residence perio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satisfaction with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degree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satisfaction with welfare policies, and pride as a Daegu citizen were highly related to the local residence intention of young people in Daegu. These finding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providing conditions for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o flow into or settle in the reg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대구시의 인구 현황 및 인구이동
Ⅴ. 청년층 인구이동의 분석
Ⅵ.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