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T 기반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모델(SIHA 서비스 모델) 실증 연구
방문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 백민소(Paek, Min-So) 신준섭(Shin, Junseob) 양호정(Yang, Ho-jung) 신유선(Shin, Yu-seon) 정갑주(Jeong, Karpjoo) 김우용(Kim, Woo Yong) 이승엽(Lee, Seungyoup)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제4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2
- 59 - 92 (34 pages)
본 연구는 ICT 돌봄 보조기기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모델인 ‘SIHA(Smart In-Home Aftercare) 서비스 모델’을 실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독거노인 거주공간에 설치된 ICT 돌봄 보조기기로부터 수집・처리된 데이터를 돌봄 서비스 제공 및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에 활용한 방문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 9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초점집단 및 개별 인터뷰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SIHA 서비스 모델에 대한 인식, SIHA 서비스 모델 활용 경험, 그리고 보건・복지 연계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의 3개 상위 범주와 9개의 하위 범주(ICT 돌봄 보조기기 및 데이터 활용에 대한 편견, ICT 데이터 활용에 대한 기대, 보건과 복지 서비스 연계 모델에 대한 기대, SIHA 서비스 모델 활용의 이점, 활용의 어려움 및 보완점 제안, 정보공유 문제, 책임소재 문제, 타 전문직에 대한 편견 및 이해 부족)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인 보건・복지 돌봄 제공자의 ICT 데이터 활용 및 보건・복지 연계 경험을 근거로 ICT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visiting nurses and social workers providing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We have developed and applied a community care model, SIHA (Smart In-Home Aftercare) service model, designed to improve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als through data sharing (e.g., data derived from ICT-based smart care devices installed in care recipients’ hom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four visiting nurses and five social workers. Results: Three main themes emerged: ‘perception about the SIHA service model’, ‘experience of using the SIHA service model’ and ‘tasks to improve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als’. Also, Nine sub-themes emerged, including ‘prejudice on the use of ICT-based care devices and ICT data’, ‘expectations for using ICT data’, ‘expectations for using the SIHA service model’, ‘benefits of using the SIHA model’, ‘difficulties of using the model’, ‘suggestions for SIHA’, ‘information sharing problems’, ‘responsibility’ and ‘prejudice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other professionals’ roles and perspectives’.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on the use of ICT data and data sharing between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al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SIHA 서비스 모델
Ⅳ. 연구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