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29.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원예 교육연구 동향분석

Trend Analysis on Early Childhood Hor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2004 to 2021

  • 33

이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원예 관련 동향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지 등에서 최근 2021년까지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유아원예 관련 61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시기·저자의 전공유형·연구주제·연구방법·연구대상(연구참여자)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 대상 원예 관련 동향에서 학술지보다는 학위논문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논문 저자의 전공유형은 원예 관련 학과에서는 원예치료, 비원예 관련 학과에서는 유아교육 또는 아동학과 등이었다. 셋째, 원예 관련 주제 유형에서는 원예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2012년 이후부터는 더욱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주제(종속변수)에 따라서는 정서발달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라 살펴본 결과, 양적 연구가 대다수였고 질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대상(연구 참여대상자)은 만 5세가 대부분이었다. 앞으로는 유아기 원예활동의 효과를 질적·양적으로 넓혀서 보다 깊이 있게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 이후 시대적 요청에 따른 새로운 연구방향과 주제 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current analysis of the gardening related trend subjected in infants.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nually-focusing on the researchers and journals which have been published by 2021. The final analysis subjects were chosen after 3-time check and they are 61. The 61 analysis subjects were examined by the major of writer, research type,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research participants) and times. Thes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program to calculate proportion and frequency. First, an annual analysis researched subjected to infant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2004-the first research published, and there were most researchers were conducted in 2012. Second, in the major of writers, the most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gardening related major and they were 6 published by master s degrees in 2012. Third, in research type, gardening activity is more conducted than gardening therapy and in the research topic, 15 research about mental development indicated gardening has an effect. As for the trend of infant horticultural research, more than half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but none of the qualitative studies appeared. Finally,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study subjects, it was found that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infants aged 5 year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 the field application of UNESCO s ESD theme as well as holistic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