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56.jpg
KCI등재 학술저널

AI 활용을 위한 디지털-어포던스 전시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Display Space Using Notion of Digital-Affordance for Using AI

DOI : 10.29279/jitr.2021.26.4.15
  • 243

현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지나 인공지능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 현상은 디지털의 근본적인 현상에서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삶의 각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용은 사람의 오감을 자극하는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그 효과를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짧은 시간에 사람의 다양한 소비욕구와 행동의 유발을 위하는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다양한 행동유도 장치의 적용과 효과가 순간적으로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에서 가장 필요한 학습방법을 사람의 감성반응구조에서 찾아내고 나아가 그것을 활용하여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 구조를 찾아내기 위하여 플리치크의 감성휠을 연구·분석하여 실질적인 공간 또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활용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를 함께 첨부하였다.

Ⅰ. Introduction

Ⅱ. New viewpoint of space display

Ⅲ. Methods for emotional activation

Ⅳ. Combination of affordance and digital technology

Ⅴ. Composition of space and digital affordance

Ⅵ.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