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60.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대생들의 학교생활 문화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chool-life Culture of Students in University of Education:Focusing on J University of Education

  • 47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J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문화를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총 7명의 J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및 학과 선택, 수업 활동, 학교 내 활동, 학교 외 활동 영역으로 분류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면담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Merriam(2009)의 순차적, 순환적 자료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4개의 주제, 8개의 범주, 60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는 1) 편안한 현재 그리고 안정적인 미래를 꿈꾸며, 2) 수업은 No, 임용은 Yes, 3) 우물안 개구리, 교대생, 4) 이렇게 살아도 되나?: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제, 범주, 의미단위를 토대로 교대생들이 올바른 인성과 교직에 대한 신념과 사명감을 갖춘 초등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초등교원 양성체제의 변화의 필요성과 개선방향, 정책적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As a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d school-life culture of students in J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er interviewed a total of 7 students of J university of education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bout choice of university and major, clas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rculational and sequential method by Merriam(2009) and then identified 4 themes, 8 categories, and 60 meaningful units. The identified 4 themes are 1) hoping for comfortable present and a stable future, 2) no to class but yes to teacher-qualification test, 3) a student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being a big frog in a small pond, 4) am I doing alright? ?: changes to be a good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made on the changes and directions for appropriate teacher education systems to nurture ‘a good teacher.’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