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상담학 분야에서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총 107편의 학위논문(44편) 및 학술지 논문(63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연구참여자, 연구주제, 연구유형, 글쓰기 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 분석방법, 연구 타당도, 연구 윤리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2015년부터 2021년 9월까지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상담학 분야에서 자문화기술지 연구 대상은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연구의 주요 주제는 연구자의 회복과 성장 경험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방법적 엄밀성과 연구 윤리 실천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활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담학 분야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상담학 분야 자문화기술지 연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an analysis on a total of 107 thesis (44 degree thesis and 63 academic journal thesi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domestic counseling, using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The main target of the analysis included participants, research topic, research type, writing type,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s, research validity, and research eth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autoethnography from 2015 to September 2021 showed that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ostly on the researcher’s personal(private experience) area, and the main topic of the study was the researcher’s recovery and growth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methodological thoroughness and research ethics while various strategies were us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Ⅰ. 들어가며
Ⅱ.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