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64.jpg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시대 비열홀 지역 관방시설 연구

A study on the Defense Installations in the Biyeolhol a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 238

삼국시대 비열홀 지역은 북진하는 신라와 남진하는 고구려가 치열한 공방이 벌어진 곳이지만, 남북분단의 상황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군사와 행정의 중심인 관방시설을 분석하여 삼국시대 비열홀 지역의 역사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안변 분지를 중심으로 축성과 관련된 사료를 분석하고, 일제강점기에 정리된 관방시설21개소와 고분 5개소의 현황 자료를 정리하였다. 이어서 일제강점기 자료와 북한학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서곡산성, 고산산성, 학성산성, 고산리 성지 관련 조사 결과를 재검토하고, 입지에 주목하여 나머지 관방시설의 성격도 유추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고구려와 신라의 길항속에서비열홀 지역의 점유 세력의 변화를 관방시설과 함께 분석하였다. 6세기 중후반 신라의 진출 흔적은 서곡산성과 고산산성에서 확인되었다. 추가령-삼방곡을 통하여 신주와 동해를 연결하는 교통로의 입지와 주변 유적의 관계를 통하여, 568년에 설치된 신라 비열홀주와 668년의 재설치된비열홀주의 치소도 서곡산성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636년을 전후하여 고구려가 비열홀을 장악하고, 666년에 연정토가 투항한 지역의 중심치소는 학성산성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성산성과 고산리 성지 인근에서 출토된 철제 기마모형의 공통점에 주목하고, 고구려 관방시설의 특징이 확인되는 학성산성과 철령의 고산리 성지주변 관방시설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고구려는 신라 우수주를 압박하기 위하여 철령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중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비열홀을 확보한 신라와 고구려는 상호 설정한 공수방어선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차이는 각각이 운영한 주요 관방시설의 배치와도 연결된다는것을 알 수 있다.

The Biyeolhol a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the place where fierce battles between Silla and Goguryeo took place, but research was not conducted in the situation of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Biyeolhol area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by analyzing the fortress which are the center of military and administration. First, feed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as analyzed centering on the Anbyeon Basin, and the current status data of 21 fortress and 5 tombs Subsequent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North Korean academia were synthesized and analyzed fortress such as Seogoksanseong Mountain Fortress. Finally, the change of the forces occupying the Biyeolhol area in the conflict between Goguryeo and Silla was analyzed with Fortres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races of Silla s entry into the mid-6th century were confirmed in Seogoksanseong Mountain Fortress and Gosansanseong Mountain Fortress. Silla built Fortress around the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Sinju and the East coast through the Chugaryeong Valley,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center of Biyeolholju, which was installed in 568, was Seogoksanseong Mountain Fortress. Goguryeo occupied a Biyeolhol in 636, and operated Hakseongsanseong Mountain Fortress as the central governing facil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ryeo valued the transportation route through Cheolryeo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iron horse model excavated near the Gosanri Fortress. Silla and Goguryeo, which dominated the Biyeolho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defensive line, and it can be seen that these differences are linked to the arrangement of major Fortresses operated by each.

Ⅰ. 서론

Ⅱ. 관방시설 분포 현황

Ⅲ. 고고학적 조사 성과 검토

Ⅳ. 비열홀 지역 관방시설의 역사적 의미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