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69.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의 유형과 지형환경

Neolithic Types and Changes in Location Environment in the Midwest

DOI : 10.35186/jkns.2021.42.71
  • 470

본 논문은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을 대상으로 주거유적을 대상으로 지형환경과 그 변 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앞서 토기편년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았고, 공통적으로 문양의 시문범위, 시문방법, 단치와 다치 시문구 구분, 횡주어골문의 각도가 매우 중요한 속성으 로 적용되고 있다. 이를 각각 형식으로 분류하였으며 동시에 유구와 유적 내에서 형식이 조합되는 방식을 파악하였다. 동시에 주거지 유형을 결합하여 주거유적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중 서부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은 대략 5개의 유형 설정이 가능하며 각각 암사동유형, 운서동유형, 능곡동유형, 호평동유형, 을왕동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토기와 주거지를 통해 유형을 구분한 후, 각 유형의 지형환경을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입지 분석을 참고하였으며, 각 주거유적 주변에서 해안, 하천, 충적지, 곡부, 구릉과 산지 지형 등 이용 가능한 지형을 분석하였다. 이후 각 주거유적 유형이 어떻게 주변 지형환경을 이용하는지를 구분 해 보았다. 그 결과 충적지와 구릉지 선택, 곡부 지형의 활용, 주변 하천차수의 차이 등 다양한 면에서 유형별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마지막 단계에는 충적지를 선호하는 유형과 곡부를 이용하 는 유형으로 구분되며, 주거유적의 규모와도 상관이 있다. 즉 주거유적의 유형에는 시간성뿐만 아 니라 지형환경의 활용 방식의 변화도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충적지는 자연제방과 배후습지라는 환경을 제공하며, 자연제방은 기후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이 용양상이 달라진다. 충적지는 안정적인 주거환경이라는 관점과 이용 가능한 식량자원의 확보라는 관점에서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선정에 큰 영향을 주었다. 기원전 3500년 이전 전기단계에서는 식량 생산을 위해 충적지 선택은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었으나 지속적인 범람으로 인해 안정된 주거환경을 찾아 점차 구릉지에 입지하게 된다. 이후 중기단계는 곡부 지형이 식량자원 획득에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기원전 3000년 이후가 되면 한랭기가 되고,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방식은 소지역에 따라 달리하게 된다. 한강유역의 경우 자연제방은 오히려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하 고 이로 인해 중규모 취락이 입지하게 된다. 반면 서해안에서는 중규모 마을이 여전히 해안구릉지 에 입지하거나 해양자원과 곡부의 자원 활용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한강이남 내륙지대는 1~2기 의 소규모 주거지만 남게 되며, 개별적으로 곡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적응한다. 이는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이동성을 증가하는 방법을 채택하였거나, 혹은 소규모 주거지 간의 네 트워크 연결로 식량자원의 다변화 등을 시도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make settlement site from the Neolithic period in the Midwest the subject of research. To understand this, we will review the changes, focusing on the site of the historic site, which has been less discussed. Prior to this, we classified the types of earthenware, and at the same time, the residential types were combined and classified as ‘types’. Through this, about five. types of residential relics from the Neolithic period in the Midwest can be set, and they are divided into Amsa-dong, Unseo-dong, Neunggok-dong, Hopyeong-dong, and Eulwang-dong. fter classifying the types through earthenware and residential areas, the location environment by type was studied.C. Land for each type was classified based on available areas such as coasts, rivers, alluvial areas, valleys, hills, and mountains. As a result, the pattern of moving from alluvial to hilly areas was shown according to the times, and it is divided into a type that prefers alluvial areas and a type that prefers valleys. The pattern of use of alluvial l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ocation selection of the Neolithic era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a s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vailable food. In early 3500 B.C., due to the continued flooding, it was gradually located in the hill area in search of a s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n food resources were obtained around the valley. In the cold period after 3000 BC, each has a different way of adapt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case of the Hangang River basin, natural levees provide relatively stable residential areas, and the west coast values the use of marine and grain resources. Only one or two small houses remain in the southern inland of the Hangang River, and individually adapt by selecting valleys and alluvial areas. It seems that they have taken their own strategies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Ⅰ. 서론

Ⅱ.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의 유형

Ⅲ.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의 지형환경

Ⅳ.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지형환경 변화와 적응과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