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6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전·중기 편년 재고

Rethinking on the Chronology of the Neolithic Period in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

  • 66

이 논문은 최근에 조사가 많이 이루어져 새로운 자료가 급증한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주거 유적의 편년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중서부지역은 전기, 중기, 후기와 말기로 이어지는 4단계 혹은 전기, 중기와 후기의 3단계로 시기를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원전 3500~3000년 사이의 변동을 기준으로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는 것이 적절하다는 견해도 있다. 분석 대상에 따라 각 시기별 특징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의 출현과 확산으로 이어지는 전기와 중기의 양상에 대한 견해는 대체로 일치한다. 토기 문양을 중심으로 하는 편년에서 전기는 기원전 3600년까지, 중기는 기원전 3100년까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서부지역에서는 다수의 주거지로 구성된 주거유적이 적지 않게 확인되었다. 그 중 일부는 상 대적으로 긴 기간에 걸쳐 형성되어 고고학적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동일 유적 내에서의 시기 구분은 문양구성의 변화는 물론 주거유적의 분포와 사회적 관계의 변동을 추적하는 데 필요한 선 행 작업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서부지역 대형 주거유적의 내부적 분기를 설정하고 최근의 새로운 자료를 반영하여 기존의 편년안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시기별 문양구성과 변화양상의 측면에서는 선행 연구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조사된 중서부지역 주거유적 중에 기존 편년에서 중기에 해당하는 토기 양상을 보이 면서 방사성탄소연대는 중기 상한보다 앞서는 측정치를 보이는 사례가 적지 않은 점은 주목할 만 하다. 전기와의 연속성보다 중기로의 지속성과 일관성이 좀더 분명하기 때문에 이를 단순하게 전 기 말에 출현하여 중기로의 이행을 보여주는 예라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현재의 자료만으로 중기 의 시작 연대를 소급하여 명확하게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중기로의 전환은 기존의 견해보다 이른 시기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hronology of the Neolithic residential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where new data have accumulated due to the recent excavations. The Midwestern region is generally divided into four phases or three phases leading to the early, mid, late, but there is also a view that it is appropriate to divide it into the first and the second half based on the fluctuations between 3500 and 3000 BC. This can be seen 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nalysis targe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depending on the analysis target, but they generally agree on the aspects of the early and mid-term period leading to the emergence and spread of culture in the midwestern region. If we look at the chronology centered on decorative patterns of the pottery, the early period corresponds to 3600 BC, and the mid-term period corresponds to 3100 BC after that. However, among the residential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which were recently investigat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radiocarbon date is ahead of the mid-term upper limit, showing the pattern of pottery equivalent to the mid-term period. It is difficult to simply evaluate these sites as examples of the changes to the mid-term period by appearing at the end of the early period, because their persistence and consistency to the mid-term are more evident than continuity with the early period.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ites where dozens of dwellings have been investigated, there are many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archaeological period by being occupied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The classification of periods within the site can be said to be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racking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decorative patterns on pottery according to the period as well a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site and social rel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large residential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which were previously evaluated as belonging to similar period, and recent new data were reviewed, and the chronology were reconstr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dwellings with different periods internally according to the sites,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mid-term period began earlier than the existing view. In addi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emporality of the Amsa-dong site, which have not been clarified until now.

Ⅰ. 머리말

Ⅱ. 기존의 편년

Ⅲ. 유적 분석

Ⅳ. 편년의 재구성과 문양구성의 변화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