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69.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울 암사동유적의 석기제작기술과 체계

An Archaeological Study on Stone tool Production in Amsadong site, Seoul

DOI : 10.35186/jkns.2021.42.1
  • 285

서울 암사동유적은 한반도 중남부의 신석기시대 문화상을 이해하는 첫걸음으로, 반세기 동안에 여러 차례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10여 권의 보고서로 출간되었고, 다양한 저 널을 통해 연구성과가 공개되었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 석기의 분류와 현황, 기술적인 검토는 이 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고는 암사동유적 출토 석기 현황을 정리하고, 석기제작기술의 특징과 체계를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암사동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를 검토하고, 석기분류와 기종별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보고된 석기는 25종으로 총 1,011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석기 제작과정에 따라 제작기술을 검토 하였다. 돌감은 유적 주변의 강자갈을 획득하였다. 44종의 돌감의 종류와 주변 지질도를 비교한 결과 유적은 돌감획득의 최적지에 입지하고 있었다. 몸체마련은 자갈돌몸체가 약 81%로 중심을 이루지만, 격지몸체도 약 16%로 소량 확인된다. 이것은 최종적으로 완성된 석기 형태를 고려하여 몸체마련을 적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기종별 석기제작에 대한 검토에서는 각 석기의 형태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제작과정 은 3가지의 제작체계 속에서 6가지의 흐름으로 나타났다. 즉 암사동유적의 석기제작은 돌감획득에서 몸체마련, 성형, 완성에 이르기까지 제작기술의 효율성(또는 제작과정의 최적화)을 극대화하 는 방향으로 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석기제작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암사동유적은 다양한 돌감과 제작기술에 대한 제작 실험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이것은 이후 침선문계 토기의 확산과 함께 석기제작의 제일성(齊一性)를 이루는 인큐베이터 같은 장소로서 역할을 가진다고 추정한다.

This article serves two purposes. One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 of stone tools excavated from the Amsadong site. Seco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making technology of the Amsa-dong site. As a result of the review, 25 types of stone tools and 1,011 pieces were excavated from the Amsadong site. And the site are located in the best place for obtaining raw material through the comparison of 44 types of stone material and geological maps. For preparation body(matrix), gravel-preparation body was used a lot at 81%. And the flake-preparation body is 16%.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reparation body is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final finished stone tools type. and The types of stone tools at the Amsadong site were fir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n addition, raw material, preparation body, shape and size,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were review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review data, all stone tools appeared in a way that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ir production. In addition, in Stone tool Production, six production processes were derived from three groups. In summary, the production of stone tools at the Amsadong site applied optimal techniques in the manufacturing stages, such as obtaining raw material, preparation body, shape making, and grinding. It can be said to be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technology or optimiz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Ⅰ. 머리말

Ⅱ. 암사동유적의 석기현황과 검토

Ⅲ. 암사동유적 석기제작기술과 체계 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