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77.jpg
KCI등재 학술저널

Bacillus amyloliquefaciens 함유 비료 처리에 의한 상추의 생육 증대 효과

Growth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in Lettuce

  • 38

본 연구는 친환경농업에서 미생물비료(MF)의 작물 생육 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가 함유된 미생물비료의 처리, 유기질비료(OF)의 혼용 처리 및 미생물비료 제형별 처리에 따른 상추의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생물비료의 유효 균주인 B. amyloliquefaciens는 전분 분해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비료를 유기물의 공급없이 상추에 처리하는 경우 작물의 생육은 무처리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구와 비교할 때, 유기질비료와 미생물비료를 함께 처리한 MOF2 처리구(2,500 kg OF/ha + 50 kg MF/ha)의 건물중이 약 30% 증가하였다. 미생물비료 제형별 상추 생육 조사 결과, 수용제는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화제 처리구의 건물중은 약 43% 증대되었다. 미생물비료의 제형별 작물 생육 비교 시 수용제보다 수화제 처리구에서 37% 정도 증가하여 수화제 처리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미생물비료를 유기질비료와 혼용하는 경우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며, 수화제의 처리 시 작물의 생육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MF) contain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on the growth in the lettuce by treating MF without and with organic fertilizer (OF), or by its formulation types, and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in the eco-friendly agriculture. B. amyloliquefaciens, active microbe of MF, had activities of amylase and protease. Applied only MF without OF, MF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on-fertilizer (NF). As compared to control, dry weight of MOF2 treatment (2,500 kg OF/ha + 50 kg MF/ha) was increased by about 30%. As applied with wettable powder type (WP) and soluble powder type (SP) of MF, the dry weight of WP was increased by 43% than that of control, but SP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parison with two MF formulation, dry weight of WP was increased by about 37% than that of S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n application of MF improved the growth of lettuce by prompting a mineralization of OF, and that the formulation type of MF was better WP than SP.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