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COVID-19 확산에 따른 국제적 연대의 붕괴 원인을 분석하고, K-방역체계를 중심으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한국은 COVID-19 발생 초기단계에서 K-방역체계를 적용하여 소수의 확진자가 발생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미국, 유럽, 일본 등 보건 선진국은 초기방역에 실패하여 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은 COVID-19 위기에 대한 책임소재로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 12월 초부터 백신 접종이 개시되었으나 변종 바이러스의 발생과 COVID-19 방역에 대한 피로감 등으로 감염자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COVID-19 위기는 인간안보의 영향요소인 국제사회의 개방성과 이동성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인류의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백신 개발, 방역체계, 의약품, 마스크 등 관련 물질의 불균형으로 선진국과 저개발국 간의 대응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COVID-19 팬데믹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검증한 K-방역체계를 활용하여 국제사회의 신뢰 회복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한국 정부도 보건안보를 위해 COVID-19 사태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추가방안을 강구하고 지자체 및 시민단체의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지원을 독려하여야 한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collapse of international solidarity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to seek way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using the K-quarantine system. In the early stages of the outbreak of Corona Virus, Republic of Korea(ROK) applied the K-quarantine system, resulting in a few confirmed infecter cases but the advanced Health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suffered a lot of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due to failure of their quarantine system. U.S. and China currently are arguing which country, between the both, is the cause of the Corona Virus crisis. Vaccination of COVID-19 began in early December. However, the number of infected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outbreak of the variant virus and fatigue from the COVID-19 quarantine. The COVID-19 crisis is rapidly spreading due to the openness and mo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are factors influencing human security and also is a great threat to humanity. The imbalance in quarantine capabilities such as vaccine development, quarantine systems, medicine, and masks is widening the response gap between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trust and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global community by utilizing the verified K-quarantine system to overcome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ROK government also should develop realistic additional measures to mitigate the Corona virus situation for health security and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active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and NGOs.
Ⅰ. 서론
Ⅱ. 인간안보와 보건안보의 개념
Ⅲ. COVID-19와 인간안보
Ⅳ. COVID-19 해결을 위한 국제연대 대응의 붕괴와 대응방향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