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089.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구성의 관계에서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Uncertainty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83

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과 진로구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을 통해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된 매 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소재한 12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3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서지능과 진로구 성의 관계를 자기주도성이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가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입에 있어 자 기주도성의 증진과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 능력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 과에 근거하여 논의를 진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which intolerance uncertainty was moderated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To that e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students enrolled in 12 colleges located in the capital and vicinity areas, and collected data from 532 students in total.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ly, the proactive personality h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Secondly, an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hich a proactive personality mediating effect is being moderated by intolerance uncertainty appea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is required for both improving the proactive personality and increasing the moderating capability of intolerance uncertainty in order to increase a career constru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us far, this study proceeded with in-depth discussions further, thereby presenting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