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유기불안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andonment Anxiety in College Students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8권6호
-
2021.12137 - 158 (22 pages)
-
DOI : 10.20496/cpew.2021.8.6.137
- 50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유기불안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그리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해 전국 4년제 대학생 2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요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기불안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 하였다. 넷째, 유기불안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매개하여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the effect of Abandoned Anxiety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on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purpose, data of 259 four-year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ll major variables. Second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as found in the effect of Abandoned Anxiety on Interpersonal Problems.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found in the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b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found to be the effect of Abandoned Anxiety on Interpersonal Problems by mediating Negative Automatic Though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