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090.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기 방사를 이용한 고분자/금속산화물 복합소재 기반의 투명전극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parent electrode based on polymer/metal oxide composite via electrospinning

  • 60

본 연구는 나노섬유를 제조하는데 빠르고 효과적인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PVA(Polyvinyl alcohol)와 AgNO 3 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을 금속산화물 기반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PVA/AgNO 3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나노 섬유 구조체 형태로 방사하여 250 ℃에서 2 시간 동안 열처리 과정을 통해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은나노 섬유 기반 투명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전극은 four-point probe 장비를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UV - Vis spectrophotometer 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전극의 투과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과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EDS)를 통해 은 나노 섬유의 표면 특성과 성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전기 방사 시간에 따른 면저항과 투과도의 최적화된 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은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은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과 같은 차세대 유연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e have confirmed that optimized transmittance and surface resistance by electrospinning time, also the fabricated transparent electrode composed of silver nanofiber with excellent electrical, opt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s is showed applicability to next generation flexible displays such as solar cells, displays, and touch screens. → We have confirmed the optimized transmittance and surface resistance by electrospinning time Also the fabricated transparent electrode composed of silver nanofiber with excellent electrical, opt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s showed applicability to next generation flexible displays such as solar cells, displays, and touch screens.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