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전환에 의해 생성된 Compound K의 항염증 및 독성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toxicity of the compound K produced by bioconversion
- 김무성(MooSung Kim) 신현영(Hyun Young Shin) 김현경(Hyun-Gyeong Kim) 강지성(Ji Sung Kang) 정경환(Kyung-Hwan Jung) 유광원(Kwang-Won Yu) 문기성(Gi-Seong Moon) 이향렬(Hyang-Yeol Lee)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2
- 1466 - 1475 (10 pages)
Compound K (20-O-β-( D -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는 진세노사이드의 활성성분이다. Compound K는 경구 투여 후 Rb 1 , Rb 2 및 Rc가 사람의 장내 미생물의 β-glucosidase에 의해 생물전환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생물전환된 인삼농축액에서 얻은 compound K를 이용해 항염증 및 독성을 조사하였다. 세포독성평가 결과, compound K는 0.001∼1 μg/mL의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로 염증이 유발된 RAW 264.7 세포에서 TNF-α, MCP-1, IL-6 및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일 농도범위에서 TNF-α 및 IFN-γ로 염증이 유발된 HaCaT 세포는 compound K의 처리로 인해 IL-8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IL-6의 경우 일부 농도에서 생성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Brine shrimp를 이용한 치사율 검정법에서 compound K의 LC 50 는 0.37mg/mL로 다소의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compound K가 35% 고함유된 생물전환물은 LC 50 가 0.87mg/mL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생성물은 향후 여드름 완화용 화장품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기능성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ound K (20-O-β-( D -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 is an active ingredient of ginsenosides. Compound K has been known to produce from biotransformation by β -glucosidase action of human intestinal microbes after oral admistration of ginseng. We have investigated the cytotoxicity of compound K obtained from bio-converted ginseng extract. As a result, compound K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in the concentration of 0.001 to 1 μg/mL and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α, MCP-1, IL-6 and NO in RAW 264.7 cells induced by LPS inflamation. In the same concentration, HaCaT cells induced by inflammation with TNF-α and IFNγ decreased IL-8 production due to compound K treatment. In the brine shrimp lethality assay, the LC 50 of compound K was 0.37 mg/mL indicating some toxicity, but the bioconverted product containing 35% compound K showed relatively low toxicity with an LC 50 of 0.87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und K enriched extract is a potential functional material for acne relief cosmetic products.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