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124.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전기 <禮賓省牒>의 書式 복원과 외교상 의미

Foreign Relations and Diplomatic Documents Forms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rough restoration of the form of Yebin-Seong(禮賓省) Cheop(牒)

DOI : 10.17788/dbhc.2021..197.002
  • 106

현재 고려가 일본에 1079년에 문종의 질병 치료를 위해 의사를 요청한 <1079예빈성첩>과 고려가 남송으로 몽골에게서 탈출한 남송인 3인을 송환한 <1259예빈성첩> 등 두 건의 예빈성첩 사례가 轉寫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를 토대로 牒이 고려만의 문서 형식이 아니라 당대 이래 동아시아 諸國에서 널리 사용되는 문서이며, 고려는 주변의 나라들과 牒을 통해 외교적인 소통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牒이 외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국서로, 일종의 외교문서였다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당송대, 특히 사마광의 『서의』와 『경원조법사류』에 기록된 송대 牒式을 정리하였다. 양자의 비교를 통해 기본적으로 서식 구조가 같지만 약간의 차이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079예빈성첩>, <1259예빈성첩>과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고려의 두 첩문 사례 또한 송대 서식과 유사하며, ‘當省’과 같은 표현이 있어 고려의 실정에 맞도록 변형하여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초부터 당대 문서나 『서의』의 등장 사례로, 고려가 성종대에 서식을 마련하였을 것이라는 점도 재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빈성첩>은 첩을 소지한 일행의 방문 목적이 공식적임을 보증하면서 고려의 요청 등을 전달하는 외교적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1079예빈성첩>과 <1259예빈성첩>이 각기 일본과 남송으로 고려가 보낸 첩인데, ‘牒’과 ‘牒上’, 서명한 관직자의 차이 등을 통해 고려가 송과 일본에 대해 등차를 두어 차별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牒에 담겼다고 보았다. 이는 고려가 인식하는 외교 관계에서의 等差를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orm and diplomatic significance of Goryeo through the ‘Yebin-Seong-Cheop(禮賓省牒)’ that appears between Goryeo and Song. For this purpose, the format was restored by comparing the cheop issued by Goryeo to Japan in 1079 and to Southern Song(南宋) in 1259 in the name of Yebinseong .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Goryeo adopted the Tang(唐) China’s cheopsik(牒式, document form) and had a connection with the Song dynasty regulations. As Goryeo had no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Song or Japan, Yebinseong effectively served as a diplomatic agency at the forefront with these countries. That is why Yebin-Seong-Cheop appeared in the diplomatic process. Furthermor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documents, it could be inferred that Goryeo also had a more favorable perception of Song than Japan.

1. 머리말

2. 牒의 사례와 외교문서로서의 기능

3. 唐宋의 牒式과 고려 <예빈성첩>의 서식 복원

4. <禮賓省牒>의 외교상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