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표적 ‘기억공간(memory space)’인 덕수궁 돌담길에 대한 역사적, 정서적 의미의 서사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누구나 접근 할 수 있는 개방된 여러 공공 공간의 물리적 구조 및 공간구성에서 서사구조가 잘 나타나고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덕수궁 돌담길의 서사구조 평가점수는 56.7/100점을 얻었다. 또한 단일 구조가 아닌 복수의 상위 서사구조와 하위 서사구조가 유기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간 서사구조 평가분석의 계속 연구의 일환으로. ‘잘 생겼다! 서울20’의 문화비축기지, 서울로7017, 기억공간으로써의 대전국립현충원의 서사구조를 연구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공간 서사구조에 대한 평가 연구의 진행을 통해 서사구조 연구의 연속적 틀을 마련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historical and emotional meaning of Deoksugung Doldam-gil(Stonewall Walkway), a representative ‘memory space’ in Korea. It was evaluated whether the narrative structure was well represented in the physical structure and spatial composition of several open public spaces that anyone could ac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aluation score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Deoksugung Doldam-gil(Stonewall Walkway) was 56.7/100 poin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a plurality of upper-level and lower-level narrative structures, rather than a single structure, exist organically. This study is part of a continuing study of spatial narrative stru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Daejeon National Cemetery as a memory space, Seoullo 7017, the cultural reserve base of ‘Good looks! Seoul 20’ was studied. We will continue to conduct evaluation research on spatial narrative structure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돌담길의 서사구조
Ⅲ. 덕수궁 돌담길의 공간 서사구조 평가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