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을 둘러싼 급변하는 행정환경의 영향으로 공공감사의 기능과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감사분야 연구에도 새로운 감사기준이나 감사기법 발굴, 이론 창출 등의 학술적 역할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감사 분야 연구의 학술적 발전과 실무적 기여도를 높이고, 학문으로서 정체성 확립을 위해 공공감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2014년부터 2020년 상반기에 출간된 공공감사 분야 연구논문 139편을 대상으로 이론적 투입면(저자의 수, 소속, 신분, 전공 등), 방법론적 전개면(계량분석, 비계량 분석), 지식 산출면(감사주체, 유형, 법제 및 기반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공공감사 분야의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연구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공공감사 분야의 학제 간 연구를 활성화하고, 이론적·철학적 논의를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주제와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로의 확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공공감사’라는 학술적 체계 확립을 위해 공공감사 분야의 독립적 학회설립과 전문학술지의 활성화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The function and role of public auditing are growing due to the public sector’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ccordingly, academic roles are expected to grow in research on auditing; these roles might include discovering new auditing standards or techniques and establishing theories. Thus, this study analyzes public auditing research trends to increase the academic development and practical contribution of said research in order to establish an identity as an academic system. Specifically, 139 research papers in the field of public auditing published from 2014 to the first half of 2020 were reviewed. The paper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number of authors, author status, major, etc.), ‘types of research methodologie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analysis), and ‘outputs of knowledge identified by research’ (auditing subject, type, and legislation). In addition, 15 experts in the public auditing field were consulted on how to develop public auditing research. The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interdisciplinary public auditing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should be expanded, and subject studies employ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hould be formulate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동향 분석
Ⅳ. 공공감사 연구의 발전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