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138.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재생에너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Public Acceptance of New Renewable Energy

  • 195

최근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는 탄소배출비율을 줄이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확대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경우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들도 나타나면서 국민의 수용성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국민적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일반 국민 7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으로는 독립변수로 ‘시민참여’, ‘정책PR’, ‘투명성’을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신뢰’를 종속변수로는 ‘수용성’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성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뢰’ 요인이 있었으며, ‘시민참여’와 ‘투명성’ 요인은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정책PR’과 ‘투명성’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업자에 대한 신뢰 확보의 노력, 신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수립 등의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In response to ever-increasing concerns regarding the climate change, many governments across the globe take initiatives to transform their energy generation to new renewable energy sources that would allow substantial reduction in carbon emission. Along with the well-recognized expected benefits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considerable shortcomings including deforestation, massive generation costs, and unstable power supplies have been identified. The public has become aware of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as well.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has encountered a new challenge to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This study explores factors affecting people’s acceptanc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alyz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790 laypeople in Korea. We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citizen participation, policy public relations (PR), and transparency on public accep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ublic’s trust in a government agency in charge of implementing the new energy projects. Ou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s the following. First, trus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blic acceptance. Second, policy PR and transparency enhance trust that, in turn, improve public acceptance. Third,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people display lower acceptance as they engage mor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have more transparent informa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make policy suggestions to secure public acceptance of new renewable energy.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설정

Ⅳ. 연구모형 및 조사설계

Ⅴ. 실증분석 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