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144.jpg
KCI등재 학술저널

安岳3號墳의 淵源과 ‘무덤 내 文字’

The origin of Anak Tomb No.3 and ‘Text in Tomb’

  • 85

이 논문은 안악3호분의 ‘무덤 내 文字’와 구조적 특징 등을 통해 그 연원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악3호분이 축조되던 당시(357) 樂浪·帶方故地의 墓葬制는 塼築墳이었다. 즉, 안악3호분과 같은 거대 石室封土墳을 만들 만한 기술력은 갖추지 못하였다. 이는 안악3호분 자체가 해당 지역에 새롭게 등장한 墓葬文化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렇다면 안악3호분은 누가 어떻게 축조한 것일까.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안악3호분의 全貌를 밝히는 것을 주력하였다. 冬壽가 남긴 여러 흔적을 바탕으로 그의 망명 과정을 따라가면서, 이와 동반된 제 현상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의 기준을 잡기 위해 漢代畫像石, 漢魏晉壁畵古墳, 樂浪·帶方故地 등에 확인되는 문자서술방식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하였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안악3호분의 연원과 ‘무덤 내 문자’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요양지역 벽화고분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는 구조와 달리, 墓誌와 朱書의 연원은 중국 山東·浙江의 동해안가의 문자문화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 문화는 낙랑·대방고지의 漢人들에 의해 수용·유지되었고, 그들의 방식이 동수나 그 후계자에 의해 축조된 안악3호분에 반영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character data of the Chinese tomb related to the ink writing of the Goguryeo mural tomb and examines the relevance of the tomb to Goguryeo. Through this research, I tried to confirm the process of the propagation-acceptance-fixation-extinguish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from the tomb to Goguryeo. In addition, it became clear that ink writing functions separately from the viewpoints of the ordering, producer and viewer of the mural tomb. I analyzed the literal material of the Chinese tomb. It is thought that the ink painting of the Goguryeo mural mound was born in the Goguryeo culture, where the mound is the original graveyard system. Therefore,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the contact point of the ink painting of the Goguryeo mural tomb, assu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burial culture and the letters found there. In the study, I looked at the genealogy of the cemetery culture that influenced Anak Tomb No. 3. By tracing the track of Anak Tomb No.3 s buried man Dongsu s track and analyz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mural tomb in China s Liaoning region, I could confirm that Anak Tomb No.3 was a landmark tomb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n Nakrang-Daebang region. Anak Tomb No.3 was structurally heavily influenced by tombs in the Liaoning area, at that time there was no technical basis yet to build a full-fledged mural tomb like that in the Liaoning region. In other words, Anak Tomb No.3 was a landmark tomb in Goguryeo s tomb culture. Of course, Anak Tomb No.3 has greatly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Goguryeo tombs.

Ⅰ. 머리말

Ⅱ. 冬壽의 亡命過程과 安岳3號墳

Ⅲ. 漢魏晉代 中國의 墓葬文化와 文字

Ⅳ. 安岳3號墳의 淵源과 ‘무덤 내 文字’

Ⅴ. 맺는말

로딩중